지난 포스팅에서는 왜 종합지수 움직임을 쫓고 장세를 판단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복습하자면, 대부분의 개별종목들은 종합지수/시장의 방향성을 공유하므로, 시장의 흐름에 거스르지 않고 보다 확률 높은 매매를 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포스팅에서 


상승추세는, 고점 - 조정 - 상승확인 그리고 

하락추세는, 저점 - 반등 - 하락확인 


이렇게 각 세가지 상태로 추가 분류 가능하다고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각 장세마다 어떤식으로 비중조절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할수 있는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세계적인 투자자 워렌버핏이 이런 투자 원칙을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투자 원칙 1: 절대로 돈을 잃지 말라

투자 원칙 2: 투자 원칙 1을 절대 잊지 말라


주식매매는 매매법 자체와 더불어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첫번째 포스팅에서 말했었습니다.

돈을 잃지 말라라는 건 바로 리스크 관리에 해당되는 말입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돈을 벌 때가 있고 돈을 지켜야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시장이 상승추세(상승확인)에 있을 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야 하는 타이밍이고 시장이 하락추세(하락확인) 있을 땐 적극적으로 나의 자본을 보호할 타이밍입니다. 


그리고 시장이 상승추세에 있지만 현재 단기 고점권에 있을 땐 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승확인일 때보다는 조금 덜 적극적으로 투자하면 되고, 시장이 현재 상승추세 속 조정 중일 땐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금 소극적으로 하다 시장이 상승확인 국면에 들어서게 되면 다시 적극적으로 투자하면 됩니다. 


시장이 하락추세에 있을 땐 최대한 수비적으로 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단기 저점권이나 반등중 매수세가 많이 들어오게 되면 하락을 멈추고 바닥권으로 횡보하거나 아니면 상승추세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매수한다면 최소량으로 진입하거나 아니면 상승추세로의 전환을 확인 후 진입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시장의 방향성을 맞춰라 라는 말이 아닙니다!!


방향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을 보고 리스크를 파악하는것!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 그래서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준비해 놓고, 그에 맞춰서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것이죠. 예) 이렇게 되면 이렇게 할것이다, 저렇게 되면 저렇게 할것이다. 


조금 더 쉽게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각 매매당 최대 매수비중을 정합니다 (예 전체 투자금액의 20프로)


그리고 각 장세마다 매수비중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조절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하나의 가이드라인입니다)


상승추세, 상승확인 = 최대 비중의 80 - 100%

상승추세, 고점 = 최대 비중의 60 - 80%

상승추세, 조정 = 최대 비중의 40 - 60%


하락추세, 하락확인 = 최대 비중의 0 - 20%

하락추세, 저점 = 최대 비중의 20% - 40%

하락추세, 반등 = 최대 비중의 40 - 60%


예를 들어 한 매매당 매수 비중을 최대 20%넘지 않게 정했다하면, 

상승추세, 상승확인 국면에서는 각 포지션당 최대 16% - 20%로 매수하시면 되고,

상승추세, 조정 국면에서는 각 포지션당 최대 8% - 12%로 매수,

하락추세, 저점 국면에서는 각 포지션당 최대 4% - 8%로 매수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것입니다.


이건 가이드라인이며 본인 스타일과 선호도에 맞춰서 조금씩 바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포인트는 상승추세, 상승확인에서의 매수 비중을 최고로 하고 점차 매수 비중을 줄이고 하락추세의 하락확인에서는 매수 비중을 최소로 가져가는 것입니다. 


저 비중은 최대로 매수할 수 있는 비중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장이 상승추세, 상승확인 국면이고 종목 A와 B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저 가이드라인에 따라 A와 B 각각 최대 16%-20% 까지 매수 가능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A와 B를 10%, 10%로 매수 하지 못하는 건 아닙니다. 


이상 장세별 비중 조절 하는법을 간략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 Recent posts